본문 바로가기

A to Z of RPA

효과적인 RPA 도입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선정

반응형

 

RPA 도입을 결정한 기업이 마주하는 가장 첫번째 문제는 바로 'RPA 적용 대상'을 선별하는 작업일 것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 업무 프로세스 선정'으로도 불리는 여겨지는 이 단계는 RPA의 성공적 도입과

향후 확산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그렇다면 RPA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은 어떤 사항이 있는지 살펴보자.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개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RPA 적용 가능 기준을 설명했다.

이 업무가 충분히 (1. 반복적인가? / 2. 단순한가? / 3. 노가다인가?)

그리고 이 반본적이고 단순한 노동집약적인 업무에 RPA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명확한 '업무 수행의 규칙성'이 필요하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예) 김대리가 매주 금요일 수행하는 주간보고서 작성 업무는 다음과 같은 규칙성이 있다.

  1. 박과장에게 전달받은 고정보고서 양식을 사용하여 작성된다.
  2. 보고서에 기입되는 내용은 '주간판매내역' 엑셀을 가공하여 채워진다. 그리고 이 가공내역은 엑셀 함수를 사용하여 도출된다.,
  3. 보고서 작성 완료 뒤, 해당 보고서를 이부장의 이메일로 전송한다.

김대리는 매주 같은 시각, 같은 내용의 리소스(주간판매내역 엑셀파일)을 가지고 동일한 함수를 사용해 주간보고서를 작성하여 이부장에게 전달한다. 이렇게 명확한 규칙성을 가진 업무는 매우 이상적인 'RPA 적용 대상'이며, 빠르고 쉽게 자동화를 적용할 수 있다.

 

두번째로 중요한 것은 '업무 수행의 단순성'이다. 여기에는 업무 수행 로직의 단순성도 포함되지만, 주로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단순성을 의미한다. 다음의 예제를 보자.

  • 업무 1 - 대리점별 월간 판매 결과보고서 작성 (작성 빈도: 월 1회)

  • 업무 2 - A상품 수량 체크 및 주문서 작성 (작성 빈도: 수시)

 

위 두 가지 업무 中 업무 2의 경우가 '업무 시스템의 복잡성'이 더 높으므로, 업무 1이 자동화 적용이 더욱 수월하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복잡한 시스템 구성은 RPA 적용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반드시 업무 수행을 위한 시스템 연관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